티스토리 뷰
한 국가의 주력전투기는 그 나라의 영공을 방위하는 최고 무기입니다. 대체로 국방력의 척도를 삼을 때 보유하고 있는 전투기의 종류와 보유댓수, 성능 등을 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전세계 무기 정보를 알려주는 '밀리터리 투데이'에서는 제공한 '전투기 순위'를 토대로 세계 최강의 전투기 순위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여기에 선정기준은 지금 현재 실전에 배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전투기를 대상으로 하며, 개발 중인 전투기는 모두 배제되었습니다. 또한 각 전투기의 제원과 사양을 반영한 결과를 따라 정하였습니다.
1위는 록히트마틴/ 보잉 F-22 랩터 - 미국
F-22는 스텔스 전투기로서 최초의 5세대 전투기입니다. 록히드마틴과 보잉이 공동 개발하여 미 공군이 21세기 구소련 공군 및 지역분쟁의 위협으로부터 공대공, 공대지 우세를 유지하고자 개발한 전투기입니다. 1983년 F-15를 대체할 차세대 제공전투기(ATF-Advanced Tacticla Fighter)의 개발에 대한 연구를 하여 2005년에 전력화를 시작하였습니다. F-22는 미국 외에 다른 나라에서는 원천적으로 구매할 수 없는 판매를 금지한 군수물자로 지정하였습니다. 물론 기술 보호의 이유가 있지만, 판매를 한다하더라도 상당히 고가의 기체도입비용과 윤용 및 유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대당 1억 5000만 달러이며, F-22는 스텔스 기술보호 등의 이유로 미국에서만 200여대가 운용되고 있습니다.
2위는 보잉 F/A-18E/F 슈퍼 호넷 - 미국
AESA 레이더가 장착되어 있는 F/A-18E/F 슈퍼 호넷은 4.5세대 미 해군의 함재기이며 다목적 전투 공격 항공기입니다. 기존에 있던 F/A-18 C/D 호넷을 대형화 시킨 개량 버전입니다. 처음에 설계될 때 맥도넬 더글러스에 의하여 설계되고 생산이 되었습니다. 첫 비행은 1995년에 하였습니다. 그런 후 1997년에 대량생산이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미국 해군에 실전으로 배치된 것은 1999년도에 시작하였으며 2006년 이후부터 F-14D Timcat을 대체하여 앞으로 1,000대 이상을 제작할 계획에 있습니다.
3위는 EF-2000 유로 파이터 타이푼 - EU
유로파이트 타이푼은 독일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이 공동으로 개발한 EU의 21세기 전투기입니다. 최초 비행은 1994년 3월에 실시한 EF-2000은 공대공 전투 위주의 공중우세 전투기이자 공대지 공격능력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익과 안쪽 플래퍼론과 수직 미익과 러더, 동체의 각 부에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경량화 시켰으며 아주 민첩한 쌍발엔진의 다목적 선미익-삼각익(canard-delta wing) 4.5세대 전투기입니다.
유로파이터는 지난 2011년 리비아 전장에 출격하여 무장 장착점 13곳에 많은 무기를 달고 공대지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실전 경험으로 검증된 전투기입니다. 현재 독일,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영국 등 6개국에서 운용 중에 있으며 719대의 계약 물량 중에 인도 완료 및 생산중인 전투기가 571대로 알려져 있습니다.
4위는 다쏘 라팔 - 프랑스
프랑스 공군은 1979년 말 경에 Mirage-2000과 Jaguar의 대체기로 차세대용 전투기 개발하고자 계획하여 라팔을 착수하게 되었습니다. 다쏘(Dassault)사는 1983년에 Rafale A 시제기 개발을 보도하였고, 첫 비행을 1986년 7월에 실시하였습니다. 2000년이 지나면서 라팔은 프랑스 공군과 해군의 주 전력으로 운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라팔의 장점은 프랑스판 JDAM인 AASM을 통한 정밀타격이 가능한 점입니다.
5위는 수호이 Su-35 플랭커 E - 러시아
Su-35는 러시아 주력 전투기 중에 최강이라 불리는 전투기입니다. 다목적 전투기로서 정밀 유도무기가 장착되어 있어 지상을 공격할 수 있는 전투기입니다. 첫 비행은 1988년 6월에 실시하였는데요, 기존 Su-27에 공중급유장치와 카나드를 추가 장착을 하였고, 구조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 티타늄 합금과 복합재를 통해 유연한 비행성능까지 겸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AL-31F 엔진과 신형레이더(복수목표에 대한 동시 공격 가능)를 탑재하였고, FLY-BY-WIRE(디지털 방식)를 구비, 좀더 성능이 뛰어난 IRST를 장착하여 데이터링크 능력이 뛰어나게 되었습니다.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사드 못지 않은 대한민국 특수부대는 어디일까? (0) | 2019.03.18 |
---|---|
대한민국이 항공모함을 배치하지 못하는 이유 (2) | 2019.03.15 |
특전사 특수작전을 위한 특수칼의 문제 (0) | 2019.03.13 |
유도로켓 비궁의 앞 날개가 긴 이유는 무엇일까 (0) | 2019.03.12 |
대한민국 특전사와 해외 특수부대의 총기 비교 (0) | 2019.03.11 |